Thursday, September 20, 2018

북녘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스물다섯번째 이야기 : 농민 : 네이버 블로그



북녘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스물다섯번째 이야기 : 농민 : 네이버 블로그




북녘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스물다섯번째 이야기 : 농민

아영스

2005. 7. 6. 14:50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북녘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스물다섯번째 이야기 : 농민

겨레하나 2005-06-28 조회수 : 28
다운로드파일



『북녘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선인출판사)
글/ 사진 : 민족21

1년 동안 자체 월간지인 <민족21>에 연재한 내용을 뼈대로 이 책을 엮어낸 [민족21]은 "북녘 사회 보통 사람들의 살아가는 이야기를 만나보십시오."로 시작하는 책의 머리말에서 북녘의 보통 사람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 '있는 그대로' 들여다보자고 권한다. 가장 완벽한 ‘북녘 인민 생활사’는 직접 만나 눈으로, 가슴으로 느끼는 것 아닐까. 그 날을 기대하며 기획 연재 한다.

연재 24회 보기




개천절 남북공동행사를 맞아
평양을 찾았던 2003년 10월 초,
북녘의 들판은 온통 황금빛으로 물들어 있었다.
올 여름 북녘은 태풍 매미의 피해는 적었지만
일조량이 시원치 않아 벼이삭이 그렇게 실하지는 않다고 한다.
북녘의 농촌 풍경, 협동농장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사진 ▶ 2001년 10월 금강산 농민대회에 참가한 북쪽 농민이 태평소를 불고 있다.


토지정리, 관개수로 개설로 농업 활성화


토지정리를 위해 측량하고 있는 노동자의 모습
이와 함께 최근 북은 전역에서 토지정리와 새 농촌마을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1998년 9월 강원도를 시작으로 1999년 평안북도, 2000년 황해남도에서 각각 토지정리 사업을 완료했으며 2002년 3월부터는 평양시, 남포시, 평안남도 토지정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평양시, 남포시, 평안남도에서 정리할 토지는 총 9만 정보에 이른다. 이미 황해남도는 2000년 10월부터 1, 2단계에 걸쳐 작은 규모의 논과 밭을 대규모로 규격화하는 토지정리사업을 전개해 1년 6개월만에 모두 10만 정보의 농경지를 새로 조성했으며 55~60가구의 주택이 들어선 130여 개의 새 농촌마을을 세웠다.
북은 농경지를 정리하면서 논, 밭이나 도로 주변의 낡은 집들을 없애고 산기슭에 농촌주택을 건설하고 있다. 지난해 농촌지역에 새로 건설, 공급된 주택만 해도 11만 3600여 채라고 한다. 이 같은 조치는 농촌 주택단지의 환경을 개선하는 한편 농경지 곳곳에 있는 주택을 없앰으로써 토지정리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경지면적을 확충하려는 정책에 따른 것이다.
토지정리 사업이 완료되면 새 농지에 대한 땅심높이기 작업에 들어간다. 이 작업은 농업과학원 토양학연구소에서 맡고 있다. 연구소는 토지정리를 마친 각 지역의 토양을 채취해 질소, 인, 칼륨 등의 함량을 분석하고 이를 컴퓨터 데이터베이스화해 이 자료를 토대로 비료 양과 물대기 등을 조절하고 있다.


북의 농민들이 새로 건설된 문화주택을 둘러 보고 있다.
토지정리 사업과 함께 다양한 인공수로 건설 및 관개시설 개선도 농업 활성화를 위해 북에서 적극적으로 벌이고 있는 사업이다. 2003년 4월에는 평안남도 개천시 대각리에서 순천시 등을 거쳐 남포시 강서구역의 태성호를 잇는 총 연장 150여 km의 자연흐름식 물길인 개천-태성호 인공수로를 개통했다. 이로 인해 서해 곡창 10만 정보의 논밭에 풍부한 농업용수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2003년 1월에는 황해남도 강령간석지 제방저수공사가 완공돼 관개용수로 이용할 수 없었던 저수지의 물을 강령-옹진 지구의 1만1000여 정보의 논밭에 원만하게 대줄 수 있게 됐으며 동시에 1000여 정보의 새로운 땅을 확보했다.
또 평안북도 관개용수 확보를 위한 백마-철길 물길도 건설 중인데 이 물길이 완공되면 수만㎾h의 전력과 많은 양수설비를 쓰지 않고도 평안북도 내 4만6000여 정보의 농경지에 물을 충분히 댈 수 있어 농업생산을 더욱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7·1경제조치 이후 높아진 농업 생산량


위) 통일거리시장 안 남새(야채) 판매대의 모습. 통일거리시장은 평양 각 지역에서 온 주민들로 항상 부쩍이고 있다고 한다.
아래) 평양 락랑구역에 자리잡고 있는 통일거리시장 입구.
북에서는 자본주의로부터 사회주의 체제로의 과도기에 발생하는 사회주의적 소유의 한 형태, 다시 말해 사적 소유로부터 전인민적 소유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불완전한 소유형태를 '협동적 소유'로 보고 있다. 이 협동적 소유의 대표적인 분야가 농업이며 협동농장이 그 전형적인 모델이다.
이렇게 협동농장은 사회주의 경제 체제의 핵심이기 때문에 지난해 7월 경제관리개선조치가 시행된 이후 각 협동농장에서도 생산량과 결산분배 등에서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가장 큰 변화는 기존에 쌀 1kg을 80전에 수매, 8전에 판매하던 것을 7·1경제조치 이후 40원에 수매해 44원에 판매하는 등 쌀 수매가격을 대폭 높여 농민들에게 많은 분배몫이 돌아가도록 함으로써 농장원들의 노력과 열의가 높아진 점이다.
이에 따라 협동농장 생산실적과 분배량이 크게 늘어났다. 생활비 및 가격의 조정이 이뤄지고 일한 만큼 분배받게 되자 가족 단위로 30만원 이상의 돈을 받는 농장원들도 나오게 됐다고 한다. 부업 차원에서 한때 유행했던 텃밭 경작도 줄어들었다. 과거 15명 내외이던 농업생산의 최소단위인 분조 규모도 7~8명 단위로 축소되고 가족단위 분조를 도입했으며 생산물의 70%를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지역시장이 활성화되었다.

올해 북의 2003년도 양곡회계연도(2002.11~2003.10) 식량수요량은 632만t(남측 통일부 추산)에 이르고 있으나 확보가능한 식량은 489만 t에 불과해 143만 t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한다.
하지만 북은 다양한 농사기술 혁신과 농업구조개선 노력으로 식량난 해결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가는 길 험난해도 웃으며 가자"라는 구호 아래 희망과 웃음을 잃지 않고.



댓글 0 공유하기

아영스

dasy_2003님의 블로그입니다.

이웃추가

No comments:

Post a Comment